최근 JSP를 통해 CRUD 게시판 개발을 시작하면서
" JSP는 어떤 방식으로 웹을 구동시키는 것일까? "
라는 생각과 함께 JSP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.
1. JSP란?
간단하게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.
HTML내에 자바 코드를 삽입하여 웹 서버에서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웹 브라우저에
돌려주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.
즉, 웹 서버에서 프로그램 실행 결과 내용을 JSP 서블릿 내부에 전달하고
이것을 HTML 문서의 형태로 반환하여 동작하는 것이다.
2. JSP 동작 과정
1. 웹 서버에서 분석한 내용(JSP 파일)을 요청.
2. 해당 내용을 JSP 컨테이너(Servlet)로 넘기기.
3.1 JSP파일의 처음 요청의 경우 -> JSP 파일을 Servlet 파일로 파싱.
-> 클래스 파일의 생성 및 컴파일 -> 클래스 파일은 메모리에 적재되어 로딩.
3.2 이미 요청된 JSP 파일의 경우 -> 파싱 생략 후 곧바로 클래스 파일 컴파일 후 메모리에 적재되어 로딩.
4. 위의 결과를 다시 웹서버로 전송 후 HTML 형태로 전환.
5. 브라우저에서 실행.
'study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21 Virtual Threads (0) | 2024.06.08 |
---|---|
자바 실행 과정(JVM의 개념 및 동작 과정) (0) | 2023.02.04 |
java 객체 배열이란? (객체 배열의 정의와 코드 구현 예제) (0) | 2023.01.09 |
java 접근 제어자 private, getter, setter.. (0) | 2022.10.13 |
[java/Eclipse] "Editor does not contain a main type" 에러 해결 (0) | 2022.08.03 |
댓글